연말정산 대상자 : 2022년 12월 31일 현재 재직중인 정직원
기본공제
본인 - 150만원
배우자공제 - 근로자의 배우자가 연간 소득금액의 합계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(150만원)
(종합소득금액, 퇴직소득금액, 양도소득금액 포함) (근로소득만 있을경우 총급여 500만원)
-> 제출 서류 : 주민등록등본 / 가족관계증명서
부양가족공제 - 근로자와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으로 연간 소득금액의 합계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(150만원)
(종합소득금액, 퇴직소득금액, 양도소득금액 포함) (근로소득만 있을경우 총급여 500만원)
거주자의 직계존비속, 동거입양자, 위탁아동, 기초생활수급자, 형제자매 및 배우자의 직계존속, 형제자매
장애인은 연령제한x, 남/여 20세 이하 & 60세 이상 (위탁아동 18세 미만)
-> 제출 서류 : 주민등록등본 / 가족관계증명서 /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/ 입양사실확인서 / 가정위탁보호확인서
추가공제
경로우대자 공제 : 기본공제대상자가 12/31일 현재 만 70세(1952.12.31 이전 출생) 이상인 경우 (1인당 100만원)
장애인 공제 : 기본공제대상자가 장애인에 해당하는 경우 (연령제한x) (1인당 200만원)
부녀자 공제 : 본인이 여성으로 종합소득금액이 3천만원 이하(근로소득만 있을경우 41,470,588원)로서 해당하는 경우
(50만원)
ⓐ 배우자가 없고 기본공제대상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
ⓑ 배우자가 있는 여성
한부모공제 : 배우자가 없는 근로자로서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(1인당 100만원)
(부녀자공제와 중복 적용 불가)
-> 제출 서류 : 주민등록등본 / 가족관계증명서 / 장애인증명서 (해당사항에따라)
연금보험료공제 : 공적연금관련법에 따른 기여금 또는 개인부담금을 납입한 경우
(급여에서 일괄 공제 납부하므로 별도 신청 필요x)
특별소득공제
건강보험료등 공제 : 급여에서 일괄 공제 납부하므로 별도 신청 필요x
주택자금공제
ⓐ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(저축납입액 * 40%), 240만원 한도 : 저축납입증명서, 무주택확인서 제출
주택청약종합저축, 청약저축은 2015.1.1 이후 납입은 총급여 7천만원 이하 근로자가 해당되며 기존 가입자중 7천만원 초과자는 기존한도
(연120만원)로 2018년 납입분까지 소득공제, 주택당첨외의 사유로 중도해지한경우 과세연도에 납입한 금액 공제x, 무주택세대주
ⓑ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공제 (원리금상환액 * 40%), 300만원 한도
-> 주택자금상환증명서, 주민등록등본, 임대차계약증서 제출
- 무주택 세대주 or 주택자금공제를 세대주가 받지 않은 경우 기타 요건 충족 세대원
- 국민주택규모(85㎡이하)주택(주거용 오피스텔 포함)의 임차를 위해 대출기관등으로부터 차입한 일정요건의 주택임차자금차입금의
원리금 상환액(본인명의) : 대부업을 경영하지않는 거주자로부터 차입한경우, 총급여 5천만원 이하 근로자만 해당
ⓒ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, 300 ~ 1,800만원 한도
->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이자상환증명서, 주민등록등본, 건물등기부등본, 공동주택가격확인서, 개별주택가격확인서 제출
- 무주택 or 1주택소유 세대주(거주여부상관x) 또는 주택자금공제를 세대주가 받지 않은 경우 세대원인 근로자(실거주에 한함)
- 2019년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원이하인 주택을 취득하기 위한 차입금 (14/01/01 이후 장기주택저당차입금부터 국민주택규모 초과주택 공제가능)
- 채무자가 당해 저당권 설정된 주택의 소유자일 것
- 차입금의 상환기간이 15년 이상일 것 (2003.12.31 이전 차입분은 상환기간 10년 이상 포함)
개인연금저축소득공제
- 2000년 12월 31일 이전에 가입한 개인연금저축 (본인명의) : 저축납입증명서 제출
- 개인연금저축 연간불입액 * 40% (72만원 한도/불입액기준 180만원 한도)
신용카드사용금액공제
- 근로자 본인 및 배우자, 직계존비속(배우자의직계존속포함), 동거입양자 연간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자의
신용카드, 직불카드, 기명식 선불카드, 현금영수증 (형제자매사용분x) : 연령제한x
- 신용카드소득공제신청서, 신용카드등사용금액확인서, 현금영수증 제출
- (사용액-총급애역의 25%) * [전통시장, 대중교통:40%, 현영,직불, 제로페이 등 : 30%, 신용카드사용분 15%,
총급여 7천만원이하 근로자의 도서, 공연, 박물관, 미술관 입장료 : 30%]
2021년 소비금액*중 2020년 대비 5%를 초과하여 증가한 금액: 10(한도 100만원)
* 중고차 구입금액의 10%를 공제적용금액에 포함, 면세점 사용금액제외
*공제한도액 : MIN[연간300만원(총급여액 7천만원 ≤ @ >1억2천 : 250만원, 1억2천만원 초과자 : 200만원),
총급여액의 20% 중 적은 금액]
중소기업취업자감면공제 (청년 90%, 청년외 70%) : 중소기업취업자소득세 감면신청서 제출
-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 등에 대한 소득세를 취업일로부터 3년, 5년 150만원 한도 감면
- 청년(만15세~34세), 청년외(60세 이상자, 장애인, 동일직장재취업한 경력단절여성)
자녀세액공제 : 주민등록등본 / 가족관계증명서 제출
- 기본공제대상 : 근로자의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자녀가 있는 경우 (손자, 손녀 공제대상X)
- 자녀1인(15만원), 2인(30만원), 3인 이상(30만원 + 초과 1명당 30만원)
- 출생, 입양세액공제 : 1명당 30만원(첫째 30, 둘째 50, 셋째 이상 70만원)
*자녀기본공제 + 자녀세액공제 가능(중복)
*자녀세액공제대상 : 7세 이상의 자녀 (초등학교 취학여부로 확인)
특별세액공제
ⓐ 보험료 세액공제 : 보험료 납입증명서 제출
- 근로자가 기본공제대상자(연령, 소득금액 제한있음)를 피보험자로 하는 장애인전용보장성보험 or 일반보장성보험료 지급한 경우
- (보험료납입액, 100만원한도)*12% or 15%(장애인전용보장성보험료, 100만원한도)
ⓑ 의료비 세액공제 : 의료비영수증 등 제출
- 근로자가 기본공제대상자(연령, 소득금액 제한x)를 위해 의료비를 지급한 경우
- 진찰, 진료, 질병예방을 위해 의료기관에 지급한 비용, 치료&요양을 위한 의약품(한약포함)구입,
보정용 안경, 콘텍트렌즈구입(50만원이내), 보청기구입, 장애인보장구구입 및 임차비용,
산후조리원비용(한도 200만원, 총급여 칠천만원 이하 근로자)
☆미용, 성형수술비용, 건강증진을위한 의약품구입비용, 실손의료보험금 보전받은 금액 제외
- [① (본인, 65세 이상자, 장애인 의료비 지급액 - ②의 의료비 지급액이 총급여액의 3%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금액) *15% (난임시술비는 20%) (② 그 밖의 부양가족 의료비 지급액 - 총급여액*3%, 700만원 한도]*15%
ⓒ 교육비 세액공제 : 교육비납입증명서 제출
- 본인 및 기본공제대상자(연령제한x, 소득금액제한o)를 위해 교육기관에 지급한 금액(직계존속x)
- 수업료, 입학금, 보육비용, 수강료 및 그 밖의 공납금, 급식비, 교과서대금, 학교수업료 및 특별활동비,
취학전 아동의 학원 및 체육시설비, 재활교육을위한 지급비용, 체험학습비(연30만원),
근로자가 상환하는 학자금 대출 원리금
- 취학전 아동, 초중고등학생 교육비 : (지급액, 300만원 한도) *15%
대학생 교육비 : (지급액, 900만원 한도) * 15%
근로자본인 및 장애인특수교육비 : 지급액 전액 * 15%
ⓓ 기부금 세액공제 : 기부금명세서, 기부금영수증, 종교단체의소속증명서 제출
- 근로자 및 직계존비속이 기부금을 지급한 경우 (정치기부금은 본인명의만 가능)
월세액 세액공제 : 주민등록등본, 임대차계약증서, 현금영수증, 계좌이체영수증 등 제출
- 무주택 세대주 or 주택자금공제를 세대주가 받지 않은 경우 기타 요건을 충족한 세대원
-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 (종합소득금액 5천만원 초과자 제외)
-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주택, 기준시가 3억원 이하 주택임차(주거용 오피스텔, 고시원 포함) 월세 지출
(임대차계약증서의 주소지 = 주민등록등본의 주소지)
- 총급여 7천만원 이하자 : 10% (한도75만원), 총급여 5,500만원 이하자 : 12% (한도90만원)
2022년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로 세금모의계산 해보기, 올해 바뀐 항목부터 소득공제까지 알아보
많은 직장인분들 매년 연말정산을 진행해도 여전히 많이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올해 바뀐 연말정산 제도와 방법으로 포스팅을 가져왔다. 시작하기 전 올해 변경사항에 대해 먼저 확인
playlee.tistory.com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부에서 내놓는 전세사기 대책방안 알아보기] 전세사기 대책 마련, 전세사기예방, 빌라왕전세사기수법, 전세사기경매, 전세계약 전 꼭 알아야할 필수사항 (0) | 2023.01.30 |
---|---|
[사랑의 이해] 12화 다시보기, 13화 예고 (0) | 2023.01.27 |
2022년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로 세금모의계산 해보기, 올해 바뀐 항목부터 소득공제까지 알아보기 (0) | 2023.01.16 |
레이싱 자켓(바이커 자켓) (0) | 2022.10.06 |
요즘 대세 가을아우터 바시티 자켓 추천(feat. GROVE, VANONE ATELIER, BITTER CELLS, RECTO, ANDERSSON BELL, KIIMUIR) (0) | 2022.09.29 |